💸 스푼이의 +1원

편의점 영수증, 그냥 버리면 손해!

안녕하세요!
스푼이 입니다 🥄
오늘은 편의점 갈 때마다 툭툭 받아오는 영수증, 이걸 그냥 버리면 얼마나 아까운지 알려드릴게요!

편의점 영수증 하나가 내 연말정산 소득공제를 도와준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 편의점 영수증도 소득공제가 된다?

결론부터 말할게요!

편의점, 마트, 커피숍 같은 곳에서 결제할 때 영수증을 챙기고 현금영수증으로 등록하면,
이 사용 금액이 연말정산 소득공제에 반영됩니다.

현금영수증은 총급여의 25%를 초과하는 사용 금액부터, 30%의 소득공제율이 적용돼요.

카드 공제(15%) 보다 훨씬 높은 혜택이죠!


🛒 편의점에서 영수증 처리하는 방법

편의점에서는 보통 이렇게 처리할 수 있어요:

  • 결제할 때 "현금영수증 해주세요" 요청
  • 휴대폰 번호 입력 or 사업자번호 입력
  • 현금영수증 발급 완료 (자동으로 국세청 등록)

현금뿐만 아니라, 체크카드로 결제해도 대부분 자동으로 연결됩니다.
(요즘은 앱 결제나 모바일 현금영수증도 쉽게 발급돼요!)

※ 참고: 카드결제 시 자동 현금영수증 처리가 안 될 수도 있으니 확인 필요!


❗ 편의점 영수증 소득공제 주의사항

편의점 영수증이라고 무조건 다 소득공제가 되는 건 아니에요.

  • 상품권 구입, 담배 구입 등 일부 품목은 소득공제 제외
  • 법인카드 사용분은 소득공제 제외
  • 사업자용 구매라면 따로 비용 처리

👉 그러니까 평소 개인 사용 목적으로 간단한 식품, 생필품 구매한 경우에만 제대로 공제받을 수 있어요!


✨ 스푼이의 +1원 절세 요약

편의점 영수증도 소득공제 대상!
현금영수증 발급 요청하고, 상품권/담배 구입은 주의하세요!

연말정산 시즌이 다가오면 작은 소비 하나하나가 내 세금을 줄여주는 "한 스푼"이 됩니다 🥄

오늘부터 편의점 갈 때, 영수증 버리지 말고 현금영수증 발급!
우리 모두 지갑에 +1원, 두둑하게 만들어봐요!

---

 

 

연말정산 용어 사전: 헷갈리는 용어 한 번에 정리!

세금은 어렵다고요? 스푼이 한 숟가락씩 쉽게 알려드릴게요! 🍚

연말정산 시즌이 다가오면 홈택스, 국세청, 회사 인트라넷에 온갖 ‘세금 용어’들이 쏟아져 나옵니다.
소득공제, 세액공제, 결정세액, 과세표준, 종합소득세…
보면 본 것 같고, 읽어도 무슨 말인지 모르겠는 단어들!

오늘은 연말정산할 때 꼭 알아야 할 세금 용어들을 쉽고 확실하게 정리해드릴게요.
이 글 하나만 보면 기본 개념은 확실히 잡고 갑니다.


1. 소득공제: 과세 대상 소득을 ‘깎아주는’ 것

소득에서 빼주는 것

‘소득공제’는 이름 그대로 소득(=세금 부과 대상 금액)을 깎아주는 것입니다.
예: 연봉 4,000만 원 - 소득공제 1,000만 원 = 과세 기준은 3,000만 원

📌 대표적인 소득공제 항목:
- 신용카드/체크카드 사용액
- 연금저축/IRP
- 주택청약종합저축 납입액
- 보험료, 의료비, 교육비 (일부는 세액공제로 분류되기도 함)


2. 세액공제: 계산된 세금에서 ‘바로 빼주는’ 것

세금에서 직접 깎아주는 것

세금이 100만 원 나왔는데 세액공제가 20만 원이면 → 실제 납부는 80만 원!

📌 대표적인 세액공제 항목:
- 기부금
- 월세 세액공제
- 연금저축/IRP 납입액 일부
- 중소기업 취업자 감면 혜택 등

소득공제는 ‘계산 전’, 세액공제는 ‘계산 후’ 적용


→ 세액공제가 더 강력한 절세 효과!


3. 과세표준: 세금을 부과할 '기준 소득'

세금 계산의 기준이 되는 금액

모든 공제를 반영한 후, 실제 세금을 계산할 최종 기준 금액입니다.

항목 금액
총급여 4,500만 원
- 소득공제 항목 합계 1,000만 원
= 과세표준 3,500만 원

→ 과세표준이 높아질수록 누진세율도 올라갑니다.


4. 종합소득세: 개인의 '모든 소득'에 부과되는 세금

근로, 사업, 임대 등 모든 소득 합산한 세금

여러 소득을 합산해 계산하는 세금으로, 프리랜서나 N잡러는 꼭 알아야 해요!

📌 포함되는 소득:
- 근로소득 (월급)
- 사업소득 (프리랜서, 자영업)
- 이자/배당소득
- 임대소득 등

👉 직장인만 있는 경우 연말정산으로 OK,

여러 소득이 있다면 5월 종합소득세 신고 필수!


5. 결정세액: 진짜로 내가 낼 세금 금액

이제 진짜 얼마 낼지 딱 나옴!

연말정산 계산의 마지막! 실제로 내가 납부해야 할 세금이 바로 ‘결정세액’입니다.

  • 이미 낸 세금(원천징수)보다 적으면 → 환급
  • 더 많이 나왔으면 → 추가 납부

💡 한눈에 정리하는 용어 요약표

용어 의미 핵심 포인트
소득공제 세금 계산 전, 소득을 줄여주는 항목 세금 기준이 되는 금액을 낮춤
세액공제 세금 계산 후, 직접 차감하는 항목 실제 세금 부담을 줄여줌
과세표준 공제 후 남은 과세 대상 금액 세율 적용 기준
종합소득세 모든 소득을 합산해 계산하는 세금 프리랜서 등은 5월 신고 필수
결정세액 최종 납부해야 하는 세금 환급 or 납부 여부 결정됨

🎯 마무리: ‘세금 한스푼’으로 쉽게 정리하세요!

세금 용어는 낯설지만, 알고 나면 연말정산이 정말 쉬워져요!
앞으로도 스푼이 알기 쉬운 세금 정보로 계속 도와드릴게요 😊
‘세금 한스푼’ 즐겨찾기 추가, 잊지 마세요!


📌 다음편 예고

“연금저축 vs IRP, 세액공제 최대 900만 원까지 받는 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