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정산 용어 사전: 헷갈리는 용어 한 번에 정리!
세금은 어렵다고요? 스푼이 한 숟가락씩 쉽게 알려드릴게요! 🍚
연말정산 시즌이 다가오면 홈택스, 국세청, 회사 인트라넷에 온갖 ‘세금 용어’들이 쏟아져 나옵니다.
소득공제, 세액공제, 결정세액, 과세표준, 종합소득세…
보면 본 것 같고, 읽어도 무슨 말인지 모르겠는 단어들!
오늘은 연말정산할 때 꼭 알아야 할 세금 용어들을 쉽고 확실하게 정리해드릴게요.
이 글 하나만 보면 기본 개념은 확실히 잡고 갑니다.
1. 소득공제: 과세 대상 소득을 ‘깎아주는’ 것
✅ 소득에서 빼주는 것
‘소득공제’는 이름 그대로 소득(=세금 부과 대상 금액)을 깎아주는 것입니다.
예: 연봉 4,000만 원 - 소득공제 1,000만 원 = 과세 기준은 3,000만 원
📌 대표적인 소득공제 항목:
- 신용카드/체크카드 사용액
- 연금저축/IRP
- 주택청약종합저축 납입액
- 보험료, 의료비, 교육비 (일부는 세액공제로 분류되기도 함)
2. 세액공제: 계산된 세금에서 ‘바로 빼주는’ 것
✅ 세금에서 직접 깎아주는 것
세금이 100만 원 나왔는데 세액공제가 20만 원이면 → 실제 납부는 80만 원!
📌 대표적인 세액공제 항목:
- 기부금
- 월세 세액공제
- 연금저축/IRP 납입액 일부
- 중소기업 취업자 감면 혜택 등
소득공제는 ‘계산 전’, 세액공제는 ‘계산 후’ 적용
→ 세액공제가 더 강력한 절세 효과!
3. 과세표준: 세금을 부과할 '기준 소득'
✅ 세금 계산의 기준이 되는 금액
모든 공제를 반영한 후, 실제 세금을 계산할 최종 기준 금액입니다.
항목 | 금액 |
---|---|
총급여 | 4,500만 원 |
- 소득공제 항목 합계 | 1,000만 원 |
= 과세표준 | 3,500만 원 |
→ 과세표준이 높아질수록 누진세율도 올라갑니다.
4. 종합소득세: 개인의 '모든 소득'에 부과되는 세금
✅ 근로, 사업, 임대 등 모든 소득 합산한 세금
여러 소득을 합산해 계산하는 세금으로, 프리랜서나 N잡러는 꼭 알아야 해요!
📌 포함되는 소득:
- 근로소득 (월급)
- 사업소득 (프리랜서, 자영업)
- 이자/배당소득
- 임대소득 등
👉 직장인만 있는 경우 연말정산으로 OK,
여러 소득이 있다면 5월 종합소득세 신고 필수!
5. 결정세액: 진짜로 내가 낼 세금 금액
✅ 이제 진짜 얼마 낼지 딱 나옴!
연말정산 계산의 마지막! 실제로 내가 납부해야 할 세금이 바로 ‘결정세액’입니다.
- 이미 낸 세금(원천징수)보다 적으면 → 환급
- 더 많이 나왔으면 → 추가 납부
💡 한눈에 정리하는 용어 요약표
용어 | 의미 | 핵심 포인트 |
---|---|---|
소득공제 | 세금 계산 전, 소득을 줄여주는 항목 | 세금 기준이 되는 금액을 낮춤 |
세액공제 | 세금 계산 후, 직접 차감하는 항목 | 실제 세금 부담을 줄여줌 |
과세표준 | 공제 후 남은 과세 대상 금액 | 세율 적용 기준 |
종합소득세 | 모든 소득을 합산해 계산하는 세금 | 프리랜서 등은 5월 신고 필수 |
결정세액 | 최종 납부해야 하는 세금 | 환급 or 납부 여부 결정됨 |
🎯 마무리: ‘세금 한스푼’으로 쉽게 정리하세요!
세금 용어는 낯설지만, 알고 나면 연말정산이 정말 쉬워져요!
앞으로도 스푼이 알기 쉬운 세금 정보로 계속 도와드릴게요 😊
‘세금 한스푼’ 즐겨찾기 추가, 잊지 마세요!
📌 다음편 예고
“연금저축 vs IRP, 세액공제 최대 900만 원까지 받는 법!”
'📌 연말정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금저축 vs IRP – 세액공제 제대로 받으려면? (0) | 2025.04.25 |
---|---|
연말정산이 처음인 직장인을 위한 초간단 가이드 (0) | 2025.04.24 |